희망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희망키움 내일키움 청년희망키움 청년저축계좌 신청자격과 모집일정 차이점

이름이 비슷해 보이지만 지원 대상과 조건, 지원 내용에 중요한 차이점들이 있습니다. 2025년 5월 현재 기준으로 각 통장 사업의 주요 특징과 차이점을 자세히 비교해 드리겠습니다.

이 사업들은 대부분 보건복지부 주관으로 저소득층의 자립을 돕기 위해 마련되었으며, 본인이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(또는 지자체, 민간)에서 추가 금액을 지원하여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

주요 자산형성지원사업 비교 (2025년 기준)

사업명 (Program Name)주요 가입대상 (Target Group)소득/근로 요건 (Income/Work Req.)본인 저축액 (Own Savings/Month)정부 지원 (Govt. Support/Month)가입 기간 (Period)주요 특징 및 목표 (Key Features/Goals)
희망저축계좌Ⅰ일하는 생계·의료급여 수급가구가입/유지 시: (생계·의료급여 가구) 기준 중위소득 40% 이하 유지, 근로/사업소득 발생 (월 10만원 이상 권장)10만원 이상 ~ 50만원 이하근로소득장려금 30만원 정액3년탈수급 지원이 주목표. 주택구입/임대, 본인/자녀 교육, 창업 등 자립·자활 자금 마련.
희망저축계좌Ⅱ일하는 주거·교육급여 수급가구 및 기타 차상위계층가입/유지 시: (주거·교육급여 가구 및 차상위계층)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 유지, 근로/사업소득 발생 (월 10만원 이상 권장)10만원 이상 ~ 50만원 이하근로소득장려금 10만원 정액3년주택구입/임대, 본인/자녀 교육, 창업 등 자립·자활 자금 마련.
청년내일저축계좌일하는 저소득 청년<br>(기준: 만 19세~39세, 단, 수급자·차상위·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자는 만 15세~39세)(유형1: 수급자/차상위/중위50%이하 청년) 근로/사업소득 월 10만원 이상 발생<br>**(유형2: 중위50%초과~100%이하 청년)** 월 근로/사업소득 50만원 초과 ~ 250만원(2025년 예시, 매년 변동) 이하. 가구소득 중위 100% 이하, 가구재산 3.5억원 이하.10만원 ~ 50만원 자율(유형1) 30만원<br>**(유형2)** 10만원<br>(공통: +이자, 정책대상별 추가지원금 가능)3년청년의 안정적 미래 준비 및 자립 지원. 교육, 주거, 창업, 결혼 자금 등.
청년희망키움통장일하는 생계급여 수급 청년<br>(만 15세~39세)생계급여 수급 가구의 청년으로, 근로/사업소득이 (최저임금의 20% 이상) 발생본인 저축 의무 없음근로소득공제금 10만원 + 근로소득장려금 (청년 총소득 대비, 최대 48.5만원까지 차등 지원)3년생계수급 청년의 탈수급 및 자립 지원이 주목표. 주거, 교육, 창업 등.
내일키움통장자활근로사업 참여자<br>(시장진입형, 사회서비스형 등 특정 사업단)자활근로사업에 성실 참여 (월 12일 이상 또는 월 80시간 이상)5만원 또는 10만원 또는 20만원내일키움장려금(본인저축액의 1:1 또는 1:3 매칭, 사업유형별 차등) + 내일키움수익금(자활기업 매출액의 일부 적립)3년자활근로 참여자의 탈수급 및 자립, 목돈 마련 지원. 창업, 취업역량 강화 등.
희망키움통장Ⅰ,Ⅱ과거 사업명. 현재는 희망저축계좌Ⅰ,Ⅱ로 대부분 기능이 통합/개편되어 신규 모집은 거의 없음.과거 생계·의료수급자(Ⅰ), 주거·교육수급자 및 차상위계층(Ⅱ)을 대상으로 했었음.

Sheets로 내보내기

“청년저축계좌”라는 명칭은 보통 “청년내일저축계좌”를 지칭하거나, 지자체 자체의 유사한 청년 대상 저축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. 위 표에서는 국가 사업인 “청년내일저축계좌”를 기준으로 설명드렸습니다.

주요 차이점 요약:

  1. 가입 대상: 각 통장마다 명확한 대상 그룹(수급 유형, 청년 여부, 자활사업 참여 여부 등)이 정해져 있습니다. 이것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.
  2. 소득 및 근로 요건: 대상 그룹에 따라 요구되는 소득 수준(기준 중위소득 대비 비율) 및 근로/사업소득 발생 여부와 그 액수 조건이 다릅니다.
  3. 본인 저축액: 대부분 본인 저축이 필수이지만, 청년희망키움통장처럼 본인 저축 의무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. 저축 가능 금액의 범위도 다릅니다.
  4. 정부 지원금(매칭 비율): 본인 저축액 대비 정부가 지원하는 금액(근로소득장려금 등)의 규모와 방식(정액, 정률, 소득 비례 등)이 크게 다릅니다.
  5. 주요 목표: 모든 통장이 자립 및 자산형성을 목표로 하지만, 세부적으로는 ‘탈수급'(희망저축계좌Ⅰ, 청년희망키움통장, 내일키움통장)을 강조하거나, 청년의 일반적인 자산형성(청년내일저축계좌)을 지원하는 등 강조점에 차이가 있습니다.

공통적인 만기 지급 요건 (일반적으로 해당):

  • 3년간 통장 유지 및 꾸준한 저축 (본인 저축이 있는 경우)
  • (대부분) 근로 또는 사업 활동 지속
  • (대부분) 연 1회 이상 금융 관련 교육 이수
  • (일부 통장) 탈수급 또는 특정 소득 기준 충족 (예: 희망저축계좌Ⅰ)
  • 자금 사용계획서 제출 및 용도에 맞는 사용 (주택, 교육, 창업 등)

신청 시 유의사항:

  • 중복 가입 제한: 원칙적으로 자산형성지원사업은 1가구 1계좌, 1인 1계좌만 가능하며, 유사 사업 간 중복 지원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
  • 모집 시기: 대부분의 통장 사업은 매년 특정 기간에만 신규 가입자를 모집합니다 (보통 연 1~2회 또는 분기별). 모집 공고를 잘 확인해야 합니다.
  • 정확한 정보 확인: 본인의 상황에 어떤 통장이 가장 적합한지, 그리고 정확한 자격 요건과 신청 방법은 **거주지 읍·면·동 주민센터(행정복지센터)**에 문의하시거나,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웹사이트 또는 **자산형성지원 콜센터(☎️1522-3690)**를 통해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.

각 통장 사업의 세부 지침은 매년 조금씩 변경될 수 있으므로, 신청하시려는 시점에 반드시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